저자/목사님
홈페이지
▒ 홈페이지 바로가기 ▒
이중표 목사님
강성열 교수님
최성규 목사님
소강석 목사님
《길과 진리》
존재는 진리에게 물어라
이 세상에 하나님의 사랑이 없는 곳에는 공허와 허무, 모순과 부조리가 있을 뿐이다. 하나님의 사랑은 인간 윤리의 기본적인 감정이며, 오늘날 현대의 문화가 파괴되는 것 또한 그 사랑이 퇴화되었기 때문이다. 유청수 목사는 사랑과 계시와 진리의 회복만이 인류의 질서를 회복할 것이라고 전하며, 이번 저서 《길과 진리》를 통해 그리스도 없는 허무한 삶에서 돌이켜, 가슴에 복음의 씨를 심으라고 권한다. 저자는 이러한 신념 가운데 '신앙은 허실이 아니고 사실이며,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삶을 둘러싼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고찰하며 기술했다.
유청수 지음 / 328면 / 15,000원 / 신국판 (152*223) 무선 / 2023년 5월 25일 발행
ISBN 979-11-6143-825-2 03230
<저자 소개>
유청수(湖月 兪淸水)
침례신학대학교 목회대학원
장로교협신신학대학원
킹스웨이신학대학원
워싱턴신학대학대학원 목회학박사
사단법인 한국원로목사총연합회 수석회장 및 이사
한국평화대상 수상
2022년 세계한류문화공헌대상 수상
저서
《긍정과 부정의 노래》(2020)
《사랑의 메아리》(2021)
《길과 진리》(2023)
제목 해설
우리 삶에는 논리적 기본 원리가 있다. 우리의 마음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다(to love God with all our heart). 주님은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하셨다. 윤리적인 인간은 자기 자신의 무한한 가치를 인식한다. 이것이 인간에게 주어진 삶의 논리적 기본 원리다. 그래서 나는 책제목을 ‘길과 진리’라고 하였고, 부제로 ‘존재는 진리에게 물어라’라고 하였다. 독자들은 깊이 묵상하면서 그 의미를 생각하시기 바란다.
계좌 · 국민은행 · 084 24 0117 597 (원로목사회 회계 유청수)
저자 연락처 · 010 8973 6398
<차례>
서문_
말론(Eschatology)
1. 구약성경에 나타난 종말론 | 2. 신약성경에 나타난 종말론
여론과 뉴스에 관한 견해
1. 여론의 기능 | 2. 뉴스의 가치 | 3. 통신사의 역할
4. 매스미디어와 대중문화 | 5. 매스미디어의 법제이론
6. 언론의 윤리 문제 | 7. 매스미디어의 법적 규제
시에 대한 이해와 판단
1. 시(詩, Poetry) | 2. 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길
3. 시를 보는 시각 | 4. 시의 언어 | 5. 시는 초현실주의적 미학
6. 시의 자동기술법 | 7. 시의 상징의 원리 | 8. 이미지의 의미
9. 이미지 속성과 구조성
예정론(豫定論, Predestination)
1. 예정과 작정의 교리 | 2. 하나님의 의지와 동작의 관계
3. 유기의 작정과 목적
은혜(恩惠, Grace)
1. 일반적으로 보는 은혜 | 2. 구원하시는 은혜 | 3. 일반 은혜
(美, Beauty)와 예술(藝術, Art)
1. 미(美) | 2. 예술(Art) | 3.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4. 경험으로서의 아름다움 | 5. 미와 예술의 차이
6. 칸트가 본 미의 무관심성과 가사성(fiktionigkeit)
生命(생명, Life)
1. 철학에서 본 생명론 | 2. 신학적 생명론
3. 행위 언약에 대한 특별 조치 | 4. 행위 언약의 요소
5. 구속 사역의 역사적 준비
생명과 심리학(Life and Psychology)
1. 마음과 뇌, 인지심리학 | 2. 기억
3. 말소리 지각(speech perception) | 4. 인지심리학의 응용
종교론(宗敎論)
1. 철학에서 본 종교론 | 2. 신학적 종교론(Religious study)
3. 종교의 정의
죄(Sin)
1. 세상을 파멸로 만든 원인 | 2. 죄의 대가: 사망의 고통
3. 환경의 악화 | 4. 죄의 전가 | 5. 죄의 성질
6. 죄의 형벌 | 7. 형벌의 실제
구원론(Soteriology)
1. 명칭 | 2. 구원의 서정 | 3. 성경적 기초 | 4. 소명(召命)
5. 소명의 목적 | 6. 중생 | 7. 회심(Conversion) | 8. 신앙
인간의 죽음(Death)
1. 육체적 죽음 | 2. 영적인 죽음 | 3. 영원한 죽음
4. 죽음에 대한 승리 | 5. 지옥
구원받은 성도의 거처
1. 하나님의 나라, 천국(The Kingdom of God, Heaven)
2. 의인의 영생의 성질 | 3. 천국의 생활
성서적 마귀론
1. 마귀론의 기원 | 2. 마귀가 유혹하는 통로
3. 마귀의 유혹을 막을 길 | 4. 사탄의 미혹
정치학
1. 정치학이란 | 2. 정치의 이데올로기
3. 한국 정치문화의 갈등 요인
4. 한국 정치 이념의 양극적 대립
시간이란 무엇인가?
1. 물리학적 시간관념 | 2. 시간성의 관계
3. 시간은 영혼의 확장
칼뱅의 진리관
1. 칼뱅의 생애 | 2. 칼뱅의 신학
3. 칼뱅의 신학의 교본 | 4. 칼뱅주의 정의와 기본 원리
5. 칼뱅주의 역사 | 6. 칼뱅주의 실제
기독교인 세계관과 인간관
1. 세계관(World View) | 2. 인간관
늙지 않는 비결
1. 노화 시계를 멈추게 하자
2. 스트레스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 종교
1. 문화와 문명(Culture and Civilization)
영혼의 침체
1. 신앙(Faith)
2. 기독교 윤리(Chnstian Ethics)
3. 영혼의 기원
4. 영혼의 불사성 혹은 영생(Immortality)
5. 영적 침체
6. 하나님의 허락된 방법
알 권리에 대한 제언
길
1. 파스칼의 시대적 배경
2. 파스칼의 사상
예정(豫定, Predestination)
1. 예정의 교리
2. 길(Way)에 대한 운명론적인 사유
탈무드(Talmud)
1. 탈무드는 하나의 기적 | 2. 지상 최강의 나라
3. 별은 밤에 빛난다 | 4. 유대인의 부자 철학
5. 유대인의 세상살이 방법 | 6. 행복을 만드는 유대인의 사고방식
희망의 길
비극의 의미
창조 신학
1. 창조(Creation) | 2. 신학(Theology)
예배
1. 예배의 정의 | 2. 예배의 실제 | 3. 예배의 신학
4. 성령은 예배의 동력 | 5. 예배의 심리학 | 6. 성도의 기본적 요구
7. 예배드리는 성도의 태도 | 8. 찬양과 예배 | 9. 기도와 예배
10. 말씀과 선포 | 11. 설교와 신학
양심(良心)
1. 역사적 고찰 | 2. 성경적 자료(Biblical Data)
인간이 되는 것(Becoming a Person)
1. 인간 존재의 의미 | 2. 창조론과 구속론
3. 인간은 무엇인가 | 4. 인간을 타락하게 하는 사탄과 악마의 기원
5. 인간이 되는 길
급격히 변화하는 세속화
1. 믿음(信仰, Faith) | 2. 믿음의 종류 | 3. 믿음의 요소
4. 세속화(世俗化, Secularization) | 5. 밴뷰런의 세속적 이해
낡은 관습(Momentum)에서 해방되자
역사는 변화한다
1. 역사의 변전(變轉) | 2. 한·미·일 군사동맹
깨어서 아침을 보자
오늘의 진통
황금의 의미
언어(Language)의 분석과 형성
1. 언어의 분석(Analysis of Language, 言語分析)
2. 언어이론의 형성
3. 언어의 윤리학(Sprachethik)
4. 언어의 기구적 사용(Instrumental Usage)
5. 언어의 예술(言語藝術)
6. 언어(言語)의 허위(虛僞, Fallacy, Sophism)
7. 언어(言語)의 모순개념(矛盾槪念, Contradictory Concept)
8. 언어의 모순대당(矛盾對當, Contradictory Opposition)
9. 언어(言語)의 지식(知識)과 지혜(智慧)
기적(Miracle)
1. 홍해(Red Sea)의 기적 | 2. 여리고 성의 기적
3. 믿음이 기적을 이룬다 | 4. 말씀이 기적이다
비전(Vision)
한국 정치 문화의 무속신앙적 작태
1. 한국인의 인정과 합리주의 사상 | 2. 사회정화 운동
3. 교육의 양적 성장
≡
상품평은 개인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인 의견으로 사실과 다르거나,보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